본문 바로가기
제가 알아봤어요

에어컨 제습 vs 냉방 모드 '전기세 많이 나올까?'

by 망고 저장소 2024. 7. 22.
반응형

여러분! 제습모드를 사용하면 전기세가 덜 나온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냉방 vs 제습원리부터 어떻게 하면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더운 여름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데 전기세 비용은 올라가는데 조금이라도 에어컨 비용을 절약해봅시다.

 

 

에어컨 제습 vs 냉방 모드

 

| 냉방과 제습 원리

냉방과 제습 두 기능은 모두 방 안에 뜨거운 공기를 끌어들여와 찬 바람으로 내보내는 냉각 순환 원리로 작동됩니다.

 

냉방 : 온도만을 기준으로 찬 바람을 강하게 불면서 바람의 세기 설정이 가능합니다.

제습 : 온도와 습도를 모두 고려해 가장 약한 바람으로 고정됩니다. 

 

에어컨의 제습과 냉방은 전력 소모량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

1. 적정 온도 설정

실내 온도를 25~26도로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온도를 1도만 높여도 전기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2. 선풍기 사용

에어컨과 함께 선풍기를 사용하면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서 에어컨 설정 온도를 높게 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차단막 설치

창문에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세요. 햇빛이 들어오면 실내 온도가 올라가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4. 필터 청소

에어컨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에어컨의 효율이 올라가고 전기 사용량도 줄어듭니다. 보통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에너지 절약 모드 사용

에어컨에 에너지 절약 모드가 있다면 이를 활용하세요. 이 모드는 전기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온도를 유지해줍니다.

 

6. 문 닫기

에어컨을 사용할 때는 방문을 닫아 냉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세요. 문을 열어두면 실내 온도가 빨리 올라가 에어컨이 더 많이 작동하게 됩니다.

 

 

전기세 뚝 떨어지는 에어컨 사용 꿀팁

시작은 적정온도까지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는 냉방모드로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쾌적함을 유지시켜주는 제습모드로 바꿔줍니다. 이것만 기억해도 에어컨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어요. 

 

# 비오는 날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비오는 날에는 제습기를 돌려주는 걸 추천합니다.

 

에어컨 제습 모드는 희망온도를 기준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비 오는 날에는 현재 온도보다 희망 온도를 낮게 설정해야 제습이 되어 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은 날이면 곰팡이에 취약하기 때문에 방마다 2~3시간씩 제습기를 돌려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 무더운 날 에어컨 냉방 후 제습 모드

가만이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 날에는 냉방 모드로 빠르게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만든 후 적정 온도에 도달하면 제습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짧은 시간에 강한 냉방으로 적정 온도에 도달하면 약냉방인 제습 모드로 습도를 잡기 때문에 쾌적함은 챙기면서 전기 요금은 절약할 수 있어요. 

 

 

Q. 에어컨 제습 모드와 일반 제습기의 차이는?
1. 작동원리
에어컨 제습 모드와 일반 제습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2. 온도 조절
┌ 에어컨 제습 모드 : 실내 온도를 기준으로 작동하며,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 온도를 낮춰줍니다.
└ 일반 제습기 : 실내 테스크를 기준으로 작동하며, 온도 조절보다는 제습에 초점을 맞춥니다.

3. 열처리
┌ 에어컨 : 냉각 과정에서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외부로 배출합니다.
└ 제습기 : 제습을 하기위해 처리된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배출됩니다.

4. 효과
┌ 에어컨 : 냉방과 제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 제습기 : 냉방 효과는 적지만 실내는 따뜻하게 뽀송해집니다.

5. 관리
┌ 에어컨 : 기존 배관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추가 관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제습기 : 물통에 수분이 배출되어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반응형